제목 | 식품영양학과 안정희 교수 한국 연구재단 중견연구 (유형2) 신규과제 선정 | ||
---|---|---|---|
등록일 | 2023-03-02 | 조회 | 1154 |
작성자 | 홈페이지관리자 | ||
![]() 식품영양학과 안정희 교수는 최근 교육부가 주관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3년 중견연구사업 (유형2) 사업에 선정됐다. 중견연구(유형2)는 국가과학자로 지정되어 받는 창의선도과제 유형 전단계로 개인 연구 사업 중연구비 지원 규모가 큰 사업이다. 연구 사업 개편 전 국가지정연구실로 지정되어 받던 사업인 만큼 연구자의 뛰어난 연구역량과 수행능력이 중요한 사업으로 알려져있다. 안 교수는 2028년까지 정부로부터 12억 5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파킨슨질환에서 장-근육-뇌 상호기전 연구와 항파킨슨 보호효과를 가진 식품소재 발굴 및 기전연구“ 를 수행한다.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퇴행성 뇌 질환 중의 한 종류로 운동 기능 장애, 감각 장애, 성격 변화 등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손발이 떨리고(진전), 몸이 굳으며(강직), 행동이 느리고(서동), 말소리가 잘 안 나오며, 얼굴 표정이 없고, 걸음걸이가 나빠지는(보행 장애) 등의 운동장애가 두드러진다고 알려져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노인성 질환으로 파킨슨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미국, 독일, 일본 등 많은 나라에서 파킨슨병 치료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병을 완화하고 억제 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을 시도하는데 발병기전이 뚜렷하지 않아 그 효과는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안 교수는 파킨슨의 항보호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스크리닝하여 병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찾고 병 기전 바이오마커 분석과 발굴을 통해 파킨슨병 초기 단계에서 장-근육-뇌축(Gut-Muscle-Brain) 네트워크의 상호작용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세 개의 장기 간의 생화학적 교류 등 상호작용을 통해 파킨슨 질환의 상관성을 연구하는 것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연구이며 직접 또는 간접적인 상호작용을 밝혀냄으로써 파킨슨 관련 새로운 치료 약물과 초기 예방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안 교수는 기능성 식품, 3차원 세포 칩, 나노 바이오 기술 및 식품 오믹스를 연구해왔으며, 주요 연구과제로는 파킨슨병, 골다공증, 간암, 신경모세포종,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백혈병, 알코올성 간질환 관련 기능성 식품 연구와 나노 바이오 기술인 금, 은, 자성 나노입자 합성 기술연구, 암을 타켓으로 하는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 3D 프린터를 이용한 3차원 멀티 세포 칩(셀 프린팅) 개발 등 다양한 식품 생명 분야 연구을 선도하여 수행하고 있다. 안정희 교수 연구실 홈페이지 https://anjhee.wixsite.com/my-site
|
다음글 | 원더걸스 메인보컬 '선예' 님의 강서대학교 실용음악학과 특임교수 임용식 | 2023-03-02 |
이전글 | 강서대학교 간호학과 4년 연속 간호사 국가시험 100% 합격!!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