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제목 | [학생처]메르스 확산에 따른 자가 안전관리 강화 안내 | ||||||||
---|---|---|---|---|---|---|---|---|---|
등록일 | 2015-06-09 | 조회 | 655 | ||||||
작성자 | 유연경 | ||||||||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이란?
□ 세계적 현황
□ 질병특성
○ (연령) 주로 50대에서 70대(0세 ~ 99세)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감염예방 수칙
평상시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세요 - 비누로 충분히 손을 씻고, 비누가 없으면 알콜 손세정제를 사용해요 2.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경우에는 화장지나 손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세요 - 화장지나 손수건이 없다면 대신 옷 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해요 3.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마세요 4.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세요 5. 발열 및 기침,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즉시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세요
□ 올바른 손씻기 요령 및 기침예절
중동호흡기증후군은 어떤 질병인가요?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어떻게 중동호흡기증후군에 감염되나요?
중동호흡기증후군은 전염성이 높은가요?
- 전염성이 있지만 분명히 제한된 범위에서 발생합니다. 개인 보호장비 없이 환자를 돌보는 등 밀접한 접촉을 하면 사람간에 전파됩니다. 감염예방 및 관리규정이 적절하지 않았다면 의료기관에서 더 쉽게 사람간 전파가 이루어져 의료기관내에서의 전파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까지 지역사회에서 전파된 사례는 보고된 바 없습니다.
-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입하면, 인체 내에서 증식하는 기간을 거쳐 몸 밖으로 배출되기 시작합니다. 이때가 바로 증상이 발생하는 시점입니다. 따라서 증상 발생 이전인 잠복기 동안에는 바이러스는 몸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잠복기는 얼마나 되나요?
-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잠복기는 평균 5일(2일~14일) 정도입니다. 즉,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짧게는 2일, 길게는 14일정도 지난 후 증상이 발생하며, 이 때 바이러스가 몸 밖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대부분의 확진환자에서 발열, 기침, 호흡곤란의 증세가 있습니다. 또, 일부 사람에서는 설사와 오심, 구토를 포함한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망률이 높으나 모두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었으며, 일부 사람에서는 가벼운 증상(감기 같은 증상)이나 증상 없이 회복되기도 합니다.
중동지역을 다녀왔는데 언제까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나요?
-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잠복기는 평균 5일(2일~14일) 정도입니다. 즉,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짧게는 2일, 길게는 14일정도 지난 후 증상이 발생하므로 중동지역에서 귀국 후 14일 동안은 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여야 합니다.
접촉자에 대한 중동호흡기증후군 진단검사는 어떤 경우에 하나요?
- 증상이 발생한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은 최종 접촉일로부터 14일간 자가격리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며, 그 사이 발열, 호흡기증상 등 이상증상이 나타날 경우 진단검사(유전자 검사)를 시행합니다.
* 밀접접촉자
-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의 경우,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지속적으로 증상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외부활동을 통한 추가적인 접촉자 발생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자가 격리만으로도 충분한 조치가 되나요?
- 환자와 접촉은 하였으나 증상이 없는 사람은 자가 격리를 하면서 증상발생 여부와 체온을 보건소 직원이 1일 2회 확인하고 있습니다. 증상 발생시 즉시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으로 이송하여 진단 및 치료를 받게 되므로 자가 격리만으로도 충분히 관리가 가능합니다.
환자가 다녀갔던 병원은 다른 사람들이 방문해도 안전한가요?
-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전파는 환자와 같은 공간에 동시에 머물면서 밀접한 접촉이 있었던 경우에 제한적으로 발생합니다. 환자가 이미 거쳐 간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중동호흡기증후군에 감염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은 어디에서 발생하고 있나요?
|
다음글 | [학생처]메르스 예방을 위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서한문 공지 | 2015-06-09 |
이전글 | [경영&사회복지] SPSS 기초통계 특강 신청 안내 | 2015-06-09 |